간경변증 : 넓게 퍼진 섬유증과 소결졀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적이며 진행성 질환이다.(계속 진행되는 질환) 만성 알코올 중동 환자의 10~15퍼센트 정도에서 발생하며, 모든 간경변의 45%이상이 알코올과 관련되어 있다.
1) 원인
- 괴사 후 경변증 :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을 앓은 후에 온다.
- 담즙성 경변증 : 만성 담낭염 혹은 담관 폐쇄에 의해 발병한다.
- 울혈성 경변증 : 울혈에 의한 울혈성 심부전에 의해 발병한다.
- 알코올성 경변증 : 만성적으로 알코올을 남용한 환자들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전혀 마시지 않은 사람들에게도 발병한다.
간경변 증상
1. 초기단계 :
간의 비대, 맥관의 변화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간기능 검사에서 비정상적인 수치가 나타난다. 촉진해보면 간이 단단하고 덩어리가 만져지며, 비대되어 있다.
2. 초기 이후 :
문맥성 고혈압 및 식도정맥류 출혈, 복수, 간성 뇌병증 등과 같은 심한 합병증이 나타난다. 문맥성 고혈압이 심하면 비장비대도 나타날 수 있고 이로 인해 빈혈, 백혈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등이 초래될 수 있다.
[ 대표 증상 ]
-문맥성 고혈압
-식도 정맥류의 출혈
- 메두사머리혈관으로 배꼭 부위에서 가지를 쳐서 약간 꼬불꼬불한 상복부 혈관이 생긴다.
- 내치질
-상복부의 잡음
-복수 : 복부 팽만, 옆구리 팽윤, 아래로 돌출된 배꼽을 볼 수 있다.
-간성 뇌병증 : 기억력, 주의력, 집중력, 반응력의 손상, 수면장애, 자세고정못함, 과호흡으로 인한 호흡성 알칼리증, 뇌파검사에서 델타파
간경변의 진단 검사
간경변증은 검사실 검사 중에서 간의 혈청효소가 상승하고, 저알부민혈증과 빈혈 등을 보인다. 정확한 진단은 간생검을 통해 내릴 수 있다. 합병증이 나타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진단한다.
1. 문맥성 고혈압 및 식도정맥류 출혈
2. 복수
3. 간성 뇌병증 : 혈중 암모니아수치와 뇌척수액의 글루타민 수치가 상승
간경변의 치료
간경변의 치료는 약물치료,식이관리, 합병증의 관리로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치료의 목표는 4가지이다. 1) 합병증 조절 2)간의 기능 극대화 3) 잠재적 원인 치료 4) 적절한 휴식, 환경 조절
1. 합병증 관리
1) 문맥성 고혈압 및 식도정맥류 출혈
문맥성 고혈압으로 인한 정맥류 중에서 식도 정맥류가 가장 파열되기 쉬우며 이러한 정맥류의 파열에 기여하는 요인으로는 문맥압 항진, 대변시의 긴장, 기침시의 증가된 흉곽내압, 음식물이나 알코올에 의한 자극, 위액에 의한 부식 등이다. 출혈을 유발하는 또 다른 이유는 비장 비대로서 비장이 비대해지면 혈구를 파괴하여 출혈과 빈혈의 위험이 증가된다.
식도 정맥류의 파열로 출혈이 발생하면 응급상황이 된다. 식도 정맥류의 출혈은 환자를 응급실에서 수술실 혹은 검사실로 옮기는 동안 찬 생리식염수로 장내를 씻어 주는 것은 효과가 크지는 않으나 시도해 볼 수 있다.
출혈로 인한 혈액손실을 보완하고 혈량 유지를 위해 수액(특히 혈량 보충제와 혈액대용제제)을 투여한다. 출혈을 막기 위해 튜브를 위 내로 삽입하고 식도와 위의 풍선을 부풀게 한다. 이때 풍선의 압력을 받는 조직의 괴사를 예방하기 위해 주기적인 풍선 압력의 제거가 중요하다. 식도 풍선은 24시간 이상 부풀려 있으면 안된다. 또한 흡인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풍선 위에 축적되는 분비물과 타앨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며 머리를 35~40도 상승시킨다. 위 풍선은 튜브가 빠지는 것을 막기 위해 부풀려져 있어야 한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간호사는 침상 가에 가위를 준비해 두고 응급상황에서 튜브를 제거하도록 한다.
식도 정맥류 출혈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 내시경적 경화요법을 시행할 수 있다. 이 시술은 내시경을 통해 출혈이 있는 식도 정맥류에 경화제를 주사하여 정맥류로 흘러들어가게 한 후 혈전을 일으켜 혈관이 경화되도록 하는 시술이다.
2. 외과적 치료
고압의 문맥계를 저압의 전신정맥계과 문합하는 것으로 문맥 전신 우회를 만든다. 문맥전신우회는 간을 측부순환하여 문맥혈을 하대정맥으로 직접 보냄으로써 문맥성 고혈압을 감소시키고 식도정맥류의 파열 위험성을 낮춘다.
* 복수 : 간경변으로 복수를 가진 환자는 과량의 복수로 인한 호흡 곤란, 배꼽 파열, 감염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신장으로 염분의 배출을 증진시키고 소듐과 수분 섭취를 제한함으로써 수분과 전해질의 불균형을 교정하는 것이다.
3. 내과적 치료
1L정도의 복수액을 제거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뇨제는 수분 정체를 감소시키기 위해 알닥톤이 사용되며, 제거된 복수액 1L당 알부민 10g을 병행하여 정맥으로 주입하도록 처방할 수 있다. 식사는 수분을 제한하면서 저염식이를 제공한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통 생리통엔 이지엔6 이브 대용량! 잘 못 먹으면 큰일 난다고?! 부작용 (0) | 2024.04.01 |
---|---|
담석증 증상은 어떤 게 있고 원인은 무엇일까? (0) | 2024.02.20 |
류마티스 관절염 초기증상부터 검사방법, 치료법 (0) | 2024.02.17 |
골절의 증상, 치료, 조심해야 할 합병증 (2) | 2024.02.17 |
혈액투석과 복막투석은 어떤 차이점이 있나 (1) | 2024.02.17 |